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1)
연도별 회원 명단 ================== 2020 ================== 20 학번 박지은 (홍보부원_하반기) 유예지 최소연 황혜정 19 학번 김예은 박수민 안민지 이지은 (총무부장) 이현수 18 학번 김시은 (총무부원) 이선진 (홍보부장_상반기) 이진민 (부회장) 오지연 (회장) 장은지 (홍보부원_상반기, 홍보부장_하반기) 최선미 (홍보부원_상반기) 한연주 17 학번 김보경(학술부원_상반기) 김지연 김혜은 박효정 배소현 16 학번 김소연(학술부장) 배지효(학술부원_상반기) ================== 2019 ================== 19 학번 김예은 박수민 이지은 (총무부원_하반기) 18 학번 김시은 이선진 (홍보부원_하반기) 이진민 (홍보부원_하반기) 오지연 (학술부원_하반기) 장..
2020년 상반기 스터디 소개 안녕하세요 성신여대 ConSeQ입니다! 오늘은 2020년 상반기에 컨시큐에서 진행한 스터디 및 소모임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총 5개의 분야로 나눠진 스터디는 빅데이터, CTF, CPPG, 정보처리기사, 개발·취약점 분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컨시큐의 2020년 상반기 스터디 지금부터 소개합니다! 처음으로 소개할 스터디는 빅데이터입니다. 빅데이터(Big Data)는 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로 그 규모다 방대하고 생성 주기도 짧고, 형태도 수치 데이터뿐 아니라 문자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규모 데이터를 말합니다. 빅데이터 스터디의 경우 사용 언어와 인원수에 따라 총 4개의 소모임으로 나누어서 진행되었습니다. 사용 언어의 경우 R프로그램과 파이썬으로 구분하였습니다. R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소모임은 ‘쉽..
[카드뉴스] 초음파 해킹 공격 안녕하세요! 오늘은 인간이 볼 수 없는 영역에서 은밀히 진행되는 해킹!초음파 해킹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초음파 공격이란 스마트 기기의 디지털 음성 비서 플랫폼을 조종하기 위한 신종 해킹 기법 중 하나로 사람의 귀에 들리지 않는 유도 초음파를 이용하여 애플의 시리나 아마존의 알렉사와 같은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조종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즉, 서핑 어택이라고도 불리는 이것은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고주파의 음파를 사용하여IT 기기의 디지털 보조장치를 활성화하고 이를 원격 조정하여 다양한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공격 기법입니다. 서핑 어택은 소리를 이용한 원격 조정 해킹이라는 점에서 그 위험성이 매우 높습니다. 특히, 해커가 비교적 먼 거리에 있어도 유도 초음파를 통해 여러 정보를 주고 받을 ..
[카드뉴스]"4세대 암호의 등장 동형암호" 4세대 암호의 등장 동형암호 4세대 암호가 등장하였습니다. 과연 4세대 암호라 불리는 동형암호가 무엇인지 함께 확인해 보겠습니다. 1세대 암호는 password(인증기술) 2세대 암호는 대칭 키 암호(데이터 암호) 3세대 암호는 공개키 암호(키 암호화) 4세대 암호는 동형/ 함수 암호(Nokey 암호) 입니다. 동형암호란 평문에 대한 연산을 수행한 후 암호화한 결과(암호문)와 각각의 암호문에 대하여 연산을 수행한 결과가 같은 값을 가지는 암호 입니다. 장점으로는 데이터의 모든 계산이 AND, OR, NOT의 논리 게이트로 연산이 가능하다는 점과 해커의 데이터 유출을 원천 봉쇄할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단점도 있습니다. 암호문의 확장, 연산의 문제가 있으며 응용 연산 종류에 따른 속도 차이가 ..
[카드뉴스] 모든 회원에게 종단간 암호화 기능 제공하는 "줌(ZOOM)의 암호 이슈" 안녕하세요 성신여대 암호 동아리 ConSeQ입니다! 오늘의 카드 뉴스 주제는 화상회의 서비스인 ‘줌(zoom)의 암호 이슈’입니다. 2020년에 발생한 코로나 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면서 재택근무, 온라인 강의, 화상회의 등이 활발해짐과 동시에 화상회의 서비스인 줌(ZOOM)의 사용도 증가했습니다. 줌 측에 따르면 2월 대비 3월 줌의 이용량은 303.1% 증가했다고 합니다. 줌에 많은 사용자가 몰리면서 해커들의 표적이 되었고 기존에 줌이 가지고 있던 보안 문제가 공개되었고, 지난 4월 이와 관련된 각종 보안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줌의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담긴 데이터베이스가 다크웹에서 거래되고 있는 사실이 알려졌고, 사용자의 메시지를 해독할 수 있는 암호키가 중국 줌 서버에 저장된 것이 밝..
[카드 뉴스] "인공지능 보안 위협" 안녕하세요 오늘은 인공지능 보안 위협이라는 주제로 카드뉴스를 제작해보았습니다. 인공지능 악용은 공격자가 고의적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악용하는 것을 뜻하며, 학습 오류 등에 의한 편향된 결과 도출 등 의도치 않게 발생하는 피해와는 다른 형태의 위협을 의미합니다. 최근 인공지능 기반의 딥페이크 기술이 발전하면서 음성 및 영상 조작을 통한 금융 사기 거래가 급격하게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딥페이크 기술은 인공지능 기술 중 하나인 생성적 적대 신경망을 이용합니다. 이 신경망의 기술을 이미지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감별자 알고리즘과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생성자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두 알고리즘이 대립하는 과정을 통해 원본의 오차를 줄여 판단이 어렵도록 콘텐츠를 생성하게 됩니다. 다음의 두 예시..
[카드뉴스] "인공지능 보안" 안녕하세요 오늘은 인공지능 보안에 대해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인공지능이란 인간의 지능을 갖고 있는 기능을 갖춘 컴퓨터 시스템이며, 인간의 지능을 기계 등에 인공적으로 구현한 것입니다. 인공지능 보안이란,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기존 보안 기술을 한 단계 끌어 올려 안정적인 환경을 마련하는 보안 방법입니다. 인공지능 보안은 지능형 통합 보안 관제, 네트워크 침입탐지, 악성코드 분석 등의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합니다. 지능형 통합 보안 관제는 보안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디지털 정보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하여 관제에 적용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네트워크 침입탐지는 사이버 위협이 고도화, 지능화 되면서 효율적인 실시간 관리를 위해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학습된 지식을 기반으로 ..
[카드 뉴스] "자세히 알려드리는 데이터 3법 법령" 안녕하세요! 이번 카드 뉴스는 자세히 알려드리는 데이터 3법 법령입니다. 지난 카드뉴스 "쉽게 알려드리는 데이터 3법"에서 데이터 3법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면, 이번 카드뉴스에서는 자세한 법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3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개인정보보호법에서 개정된 내용 중 제2조(정의), 제 28조2(가명정보의 처리 등)에 대한 실제 법령을 확인해보세요! 현행법에서는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알아볼 수 있는" 이라는 정의로 인해 "쉽게 결합하여"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았지만, 데이터 3법에서 명확한 기준이 제시되었습니다. 다음으로 정보통신 망법입니다. 정보통신망법에서는 개인정보보호법과 유사·중복되는 규정들은 모두 삭제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개인정보 정의, 민감정보·주민등록번호 ..